'전설의 주먹' 박정민이 독립운동가로 다시 태어났다. 영화 '동주' 송몽규 역이다. 적극적으로 독립운동에 청춘을 쏟았던 송몽규는 안타깝게도 현재 많은 이들에게 기억되지 못 한다. 우리는 그를 2016년 스크린에서 박정민의 얼굴과 목소리로 처음 만나게 됐다.
언론시사가 끝난 후 기자간담회에 앞서 눈물을 흘렸는데 당시 마음은 송몽규에게 누가 된 것 같은 기분이었다고. 그는 “북간도에 위치한 그분들의 묘소에 가서 도와달라고 말씀드렸다. 함부로 찾아와서 죄송하고 열심히 해서 누가 안 되게 잘 해보겠다고 했는데 누가 된 것 같은 마음이었다. 마지막에 송몽규 선생님의 사진이 올라올 때 그런 마음 때문에 울먹거렸다. 화장실 가서 미리 울고 나왔어야 했는데 거기 가서 창피한 행동을 했다”며 쑥스럽게 웃었다.
용기를 불어넣어준 것은 이준익 감독의 ‘송몽규는 박정민이다’는 한 마디였다. 물론 박정민은 그 말의 무게를 알고 있었다. 그는 “배우를 자유롭게 만들지만 동시에 엄청난 책임감을 주는 말이다. 내가 하는 행동 하나하나가 송몽규 선생님이 되는 거니까 허투루 못하겠더라. 제가 원래 그런 스타일이기도 하지만 더 철저하게 분석하고 여러 가지를 준비하고 검수하고 감수받았다. 공들여 쌓은 탑 같은 느낌이다”고 설명했다.
역시 가장 공들인 장면은 마지막 취조하는 신이다. 대사에서도 책임감이 넘쳐났다. 그냥 하는 말이 아닌 메시지를 꼭꼭 담아낸 대사들이다. 이와 관련해 박정민은 “이 장면을 위해서 달려가는 것 같았다. 매 장면 다 잘해야 했지만 이것들이 쌓여서 마지막 신을 이루는 기분이었다”며 “그래서 가장 힘들었고 공들였고 부담됐던 장면이다”고 말했다. 송몽규의 묘소를 다녀온 보람을 그때 느꼈다고. 그는 “그분의 묘소가 싹 스쳤다. 건조하고 휑한 묘였다. 이분은 더 기억돼야 할 사람인데 ‘그런 묘는 나에게 있어서는 너무 억울한 일이야’라는 감정이 훅 올라오더라. 촬영을 끝내고 나서 선생님이 날 도와주셨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며 고마운 마음을 드러냈다.
윤동주는 과정보다는 결과가 아름다운, 송몽규는 과정이 결과보다 아름답다. 우리 모두 살아가면서 이런 고민과 마주한다. 박정민은 “두 가지 모두 달성하는 건 욕심일지는 모르겠다. 그래도 목표지점을 향해 두드리고 내 자신을 깎고 달려가는 자체가 아름다워야 나중에 결과도 중요하지 않을까 싶다. 그래야 많은 사람들이 박정민이라는 배우를 좋아하게 됐을 때 떳떳할 것 같다”며 “물론 그 중에 실수하는 부분도 있을 거다. 그래도 돌아봤을 때 누가 따라오고 싶은 길을 만들고 싶다. 힘들어질 때마다 지금의 마음을 생각해야할 것 같다”고 말했다.
때문에 박정민이 이번 영화로 바라는 1순위도 송몽규에 대한 관심이다. 그는 “‘동주’가 내게 큰 기회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을 물론 안 한 건 아니다. 열심히 하려고 했고 열심히도 했다. 그러나 작품과 역할에 대해 여러 가지 연구를 하면서 그 마음이 없어져버렸다. 이 작품을 통해 떠야겠다는 생각을 하는 건 무례한 마음인 것 같다. 관객 분들도 이런 마음을 가져가셨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변화는 자기 자신으로부터 시작한다. 그는 “저부터 바뀌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인지도가 생겨서 좋은 작품, 큰 역할도 하고 싶어 했던 생각이 이 영화로 바뀌었다”며 “과정이 아름다운 배우가 되고 나서야 내가 부끄럽지 않을까. 송몽규를 연기했다는 부담감, 아주 조금이나마 평생 안고 살아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래서 일까. 여전히 박정민의 휴대전화 배경화면은 송몽규 사진이다. 작품에 합류한 이후부터 지금까지 바꿔본 적이 없다. / besodam@osen.co.kr
[사진] 최규한 기자 dreamer@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