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즌 초반 엄청난 홈런 페이스를 보여주고 있는 박병호(30, 미네소타)가 아찔한 상황을 맞이했다. 공이 오른 무릎을 강타했다. 물론 고의는 아니었다. 다행히 큰 부상은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좋은 타격감을 이어갈 기회를 놓쳤다.
박병호는 8일(이하 한국시간) 미 일리노이주 시카고의 셀룰러필드에서 열린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경기에 선발 5번 지명타자로 출전했으나 1회 첫 타석에서 오른 무릎에 공을 맞은 뒤 교체됐다.
이날 선발은 화이트삭스의 에이스 크리스 세일이었다. 박병호는 1회 2사 1,2루 득점권 기회에서 세일을 상대했다. 하지만 5구째 슬라이더가 몸쪽을 파고 들었는데 제구가 잘 되지 않으며 오른 무릎에 맞았다. 결국 박병호는 1회 수비부터 조 마우어로 교체돼 경기를 마쳤다.
미네소타 구단은 “박병호가 오른 무릎 타박상을 당했다”라면서 ‘day to day’라는 표현을 썼다. 부상자 명단 등재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경미한 부상이라는 의미다. 선수보호차원에서 교체됐다는 것인데 다행히 큰 부상은 아니라 가슴을 쓸어내렸다.
하지만 전날까지 6경기 연속 안타, 최근 7경기 타율 5할을 기록했던 박병호의 상승세가 부득이하게 끊겼다는 점은 아쉽다. 몰아치기에 능한 선수라 이날도 기대를 모았던 것이 사실. 하지만 1회 교체로 상승세를 이어갈 기회가 원천봉쇄됐다. 박병호가 빠진 팀도 공격에서 무기력한 모습을 보인 끝에 졌다. 부상 정도가 심하지 않다는 데 위안을 삼을 수밖에 없는 경기였다.
전날(7일)도 몸에 맞는 공을 기록, 양팀의 벤치클리어링에 불씨를 만들기도 한 박병호는 이틀 연속 몸에 맞는 공. 물론 세일의 투구에 고의성이 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슬라이더 제구가 잘 되지 않았다고 보는 것이 정확한 편. 하지만 세일은 추신수(34, 텍사스)와도 악연이 있다는 점에서 한국 팬들로서는 씁쓸한 장면이었다.
추신수는 클리블랜드 시절이었던 2012년 세일의 몸쪽 강속구를 맞아 부상을 당한 적이 있었고 지난해에는 몸쪽으로 제구가 안 된 강속구가 연달아 들어가 추신수가 크게 항의한 적도 있었다. 당시 세일은 “추신수를 맞힐 의도가 없었다. 다만 그가 화를 내는 것은 이해한다”라고 말했다. /skullboy@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