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이사회가 프리에이전트(FA) 제도 변경의 방아쇠를 잡아당겼다.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이하 선수협)는 일단 논의를 해본다는 게 기본적인 방침이다. 하지만 선수들 사이에서는 반발 조짐이 읽힌다.
KBO 이사회는 최근 FA 제도 변경안을 만들어 이를 선수협 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변경안은 크게 세 가지 안을 담고 있다. FA 취득 기간 단축, FA 등급제 시행, 그리고 FA 상한제 도입이다. 올해부터 실행위원회 차원에서 꾸준히 논의했고, 10개 구단이 합의한 최종 결론을 선수협 측에 제시한 것이다. FA 제도 외에도 선수협 측이 주장했던 부상자 명단 제도 신설안도 포함되어 있다.
FA 자격 요건 취득에 걸리는 연한은 1년 단축한다. 고졸은 종전 9년에서 8년으로, 대졸은 종전 8년에서 7년으로 줄어든다. 말이 많았던 FA 등급제도 3등급으로 나눠 시행한다. 최근 3년간 구단 평균 연봉 순위에 따라 보상 절차가 차별화된다. 여기까지는 FA 해당자를 확대하고,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선수들을 구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논란이 되는 것은 FA 상한제다.
이번 KBO의 제안에 따르면 FA 계약 총액을 4년간 최대 80억 원으로 제한한다. 계약금 또한 계약 총액의 30% 이내로 규정한다. 역대 FA 계약 선수 중 총액 80억 원을 넘긴 사례는 총 12번 있었다. 대부분 계약금으로 40% 남짓을 받았고 계약금 규모가 절반에 이르는 경우도 있었다.
80억 원이 적은 금액은 아니라는 점에서 상당수 FA 선수들은 해당되지 않을 전망이다. 그러나 최대어로 뽑히는 선수들은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 FA 계약 규모가 계속 커지는 양상이고, 현재 흐름상 당장 올해 시장에 나오는 양의지(두산)나 최정(SK) 등은 4년 총액 80억 원 이상의 계약이 확실시되기 때문이다. 앞으로 계속해서 나올 최대어들에게도 족쇄가 될 수 있다.
선수협 측은 KBO의 이번 제안이 더 이상의 수정안 제시가 없는, 사실상 최후통첩 분위기로 받아들이고 있다. KBO가 주도한 것이 아닌 사실상 10개 구단의 뜻이 강하게 반영된 것이라 협상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본다. 또한 KBO가 FA 상한제와 나머지 두 가지 안을 한 번에 묶어 ‘원샷’으로 처리하려는 의도로 보고 있다. 취득 연한 단축과 등급제 안을 수용하면, FA 상한제도 한 번에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김선웅 선수협 사무총장은 “이사회나 총회를 통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나 선수들 내부에서 반발 가능성이 있다는 점은 부인하지 않았다. 일단 KBO에서 선수협을 파트너로 생각해 안을 제시한 만큼, 이에 대해 성실하게 논의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선수협이 수정안을 내놓는다고 해도 10개 구단이 받아들일지는 불투명하다. 평행선을 그릴 가능성이 적지 않아 보인다.
선수협이 아직 확실한 노선을 결정하지는 못했으나 KBO 이사회가 일을 너무 급하게 추진하려 한다는 근본적인 불만이 나온다. 당장 한국시리즈가 끝난 뒤 11월 중순 FA 자격을 얻는 선수들이 공시될 예정이다. 선수협은 이 기간을 고려하면 논의할 시간이 너무 짧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한편으로는 FA 상한제가 법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시각이다. 김 사무총장은 “공정거래법 등 여러 가지 법률에서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이번 FA 상한제는 구단 간의 답함 등으로 비화될 여지가 있다. KBO라는 기구의 룰이기는 하지만, 상위 실정법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갑작스러운 FA 상한제 안을 받아든 선수들의 분위기는 ‘반발’로 정리된다. 이미 한 차례 FA 자격을 행사한 바 있는 한 선수는 “구단들의 경쟁으로 FA 몸값이 올라간 것이다. FA 상한제는 시장경제를 역행한다는 점에서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대체적으로 “인위적인 규제는 옳지 않다”는 분위기다. 선수들 내부에서도 각자의 이해관계가 걸려 있어 이번 KBO의 제안을 한목소리로 찬성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만만치 않다. /skullboy@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