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스포츠클럽, 임직원 중 체육전문 인력 고작 6.08%
OSEN 강필주 기자
발행 2018.10.25 12: 33

공공스포츠클럽 임직원 중 체육 전문 인력은 소수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5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한선교 의원(자유한국당, 경기 용인병)이 대한체육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공공스포츠클럽 55개소 임직원 중 체육전문 인력이 6.0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자체, 지방공기업, 지방체육회 출신이 47.07%, 체육 비관련 분야 출신이 44.59%에 달해 지자체 관련자들과 체육 비전문가가 차지하는 비율이 자그마치 92%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스포츠클럽은 국정과제 '모든 국민이 스포츠를 즐기는 활기찬 나라'의 일환으로 대한체육회에서 진행하는 사업이다.
지역 체육시설을 거점으로 다세대ㆍ다계층의 회원에게 다종목 프로그램과 전문 지도자를 제공하는 개방형 비영리법인으로 운영되며, 지역 맞춤형 체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한 수익 창출로 자생력 강화를 도모한다.
공공스포츠클럽들이 체육시설, 전문 지도자, 체육 프로그램 통합 공급 등 다양한 운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선 자생력 확보가 전제돼야 한다. 공공스포츠클럽을 체육활동이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으로 여느 서비스 산업과 마찬가지로 내부 구성 인력의 역량이 가장 중요하다. 이런 관점에서 현존하는 전국 55개 공공스포츠클럽의 인력구성은 개선의 여지가 다분해보인다는 것이 한 의원의 지적이다.
공공스포츠클럽 임직원 중 체육전문 인력이 고작 6.08%인데 반해 지자체, 지방공기업, 지방체육회 출신이 47.07%, 체육 비관련 분야 출신이 44.59%에 달해 지자체 관련자들과 체육 비전문가가 차지하는 비율이 자그마치 92%에 육박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공공스포츠클럽 운영 관련 실제 의사결정자인 임원들의 경우에는 더욱 심각한 수준이다. 체육관련 전문인력의 비율은 2.73% 수준이지만 지자체, 지방공기업, 지방체육회 출신 인력이 56.14%이고 체육 비관련 인력이 41.98%를 차지하고 있다.
한선교 의원은 "공공스포츠클럽이 설립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자생력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정부나 지자체 지원을 통해 운영되다보면 외부 압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진정한 선진국형 공공스포츠클럽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자생력을 확보해 회원들과 운영자들이 주인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현재 운영되고 있는 공공스포츠클럽의 인력구성을 보면 기존에 정부 지원을 받던 스포츠클럽들과 다르지 않아 보인다"고 지적했다.
또 한 의원은 "체육관련 전문 인력들을 선발해 진정한 선진국형 공공스포츠클럽으로 성장될 수 있도록 대한체육회에서 방법을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향후 공공스포츠클럽 공모 시 임직원 구성 비율에 대한 기준을 확립해 진행하는 등 전문 인력을 충분히 채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며 공공스포츠클럽 인력 구성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letmeout@osen.co.kr
[사진] 한선교 의원 제공

Copyright ⓒ OSEN.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