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창제설 가운데 하나를 영화로 옮겼다."
'나랏말싸미'가 역사 왜곡 논란으로 곤혹을 치르고 있는 가운데 다양한 역사적 견해를 무조건적으로 비난한다는 우려의 시선이 나오고 있다.
지난 24일 개봉된 영화 '나랏말싸미'(감독 조철현)는 모든 것을 걸고 한글을 만든 세종(송강호 분)과 불굴의 신념으로 함께한 사람들, 역사가 담지 못한 한글 창제의 숨겨진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역사에 기록되지 못한 사람들 중, 불교 승려 신미대사(박해일 분)가 한글창제에 크게 관여했다는 것이 주된 내용으로 등장한다.
배우 송강호, 박해일, 고(故) 전미선 등이 출연해 화제를 모았던 '나랏말싸미'는 개봉 첫날 박스오피스 1위에 등극해 순조로운 출발을 알리는 듯했지만, 일부 관객들이 역사 왜곡 논란을 제기하고 평점 테러를 해 위기에 처했다. 극 중 신미대사가 세종대왕의 조력자 수준을 넘어 한글창제에 공을 세웠다고 묘사된 부분에 비판이 가해진 것.
하지만 이를 두고 우려의 시선을 보내는 이들도 적지 않다. 과도한 역사 왜곡 논란이 다양한 역사 해석 관점과 창작의 자유를 방해할 수도 있다는 의견이다.
먼저 '나랏말싸미' 측은 영화 시작 전, '다양한 창제설 가운데 하나를 영화로 옮겼다'라는 자막으로 해당 내용이 역사적 사료에 근거한 다양한 해석 중 하나일 뿐, 절대적인 역사 인식 강요가 아니라는 점을 명시했다.
이에 대해 조철현 감독은 앞서 진행된 언론배급시사회에서 "사극을 만드는 과정에서 배운 게 있다면, 아무리 아는 게 많다고 하더라도 '진짜로 이게 맞을까?'라고 의심하는 통찰력을 이 영화를 통해 특히 배운 거 같다. 그래서 저는 영화의 오프닝 부분에 훈민정음 창제 중 하나의 과정일 수 있다는 자막을 넣었다"라고 설명해 이해를 돕기도.
더불어 영화는 영화일 뿐, 허구를 바탕으로 한 창작물에 과도한 역사 왜곡 프레임을 씌워 창작의 자유를 방해한다는 주장도 있다. 현재 '나랏말싸미'를 둘러싼 역사 왜곡 논리에 따르면, 앞으로 한글창제와 관련된 작품에서는 실제로 존재하는 수많은 창제설이 적용될 수 없으며, 오로지 세종대왕의 절대적인 리더십으로 한글이 탄생했다는 '세종대왕 친제설'만이 적용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물론 아무리 허구를 기반으로 한다고 하지만 영화, 드라마 한 편이 수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제작 전 충분한 사료 검토는 필수 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주입식 교육으로 배운 역사 인식과 다르다는 이유에서 영화적 상상력을 역사 왜곡으로 확대 해석하는 것은 모두에게 소모적일 뿐인 행위가 될 수도 있다.
영화, 드라마 등의 사극은 역사적 사료에 상상력이 더해지는 만큼, 대중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양한 가설을 역사 왜곡으로 공격하는 것보다 이를 실제 역사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수단으로 이용하는 게 더 의미 있지 않을까. 한 가지로밖에 맹신할 수밖에 없는 역사적 관점은 그 자체로 역사 왜곡이 될 수도 있다. / nahee@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