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만 총괄 프로듀서가 tvN ‘월간 커넥트’에 출연해 K팝의 과거와 현재, 미래에 대한 심도 있는 이야기를 나눴다.
지난 1일 방송된 tvN ‘월간 커넥트’ 2회에서는 첫 한국인 랜선 게스트로 SM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를 초대, “변화를 읽는 눈으로 아티스트를 발굴하는 메가 히트 프로듀서, 한류의 초석을 다진 K팝의 개척자”라고 소개하며 K팝과 한류의 글로벌한 위상을 집중 조명했다.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는 최근 미국 버라이어티가 발표한 글로벌 리더 500인에 한국인 최초로 4년 연속 선정된 소감을 묻는 질문에 "너무 감사한 일이다. 사실 ‘버라이어티 500’에 선정된 것이 어떤 의미인지 잘 몰랐는데 유명한 분들이 많았다. K팝이 전세계에 알려지고, 하나의 문화 장르로 인정받아 전세계에 영향을 주는 문화가 됐다는 것이기 때문에 영광스럽다"고 답했다.
더불어 K팝의 높아진 위상을 체감하는 순간에 대해서는 “비틀즈, 케이티 페리, 테일러 스위프트 등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이 소속된 캐피톨 뮤직 그룹에서 프로듀싱 제안을 받고 놀라웠고, 미국 최대 에이전시 CAA, 마블 등 글로벌 회사들과 협업하고 많은 러브콜을 받으면서 K팝의 위상이 높아졌음을 느낀다”며, K팝의 본질로는 “다른 나라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수용하며 우리만의 크로스오버된 독특한 문화가 만들어졌다. SM은 한국, 미국, 유럽 등이 같이 음악을 만드는 송라이팅 캠프를 진행하고 있는데, 장르를 넘나드는 시도가 K팝의 시작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밝혔다.
또한 K팝이 세계 무대에서 성장할 수 있었던 비결로는 “산업적으로 이어나가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했다. 첫 번째는 수출로, 수준 높은 음악을 만들어 수출하는 것이며, 두 번째는 합작으로, 해외 출신 아티스트를 발굴, 트레이닝해 한국 아티스트와 같이 팀으로 데뷔해 활동했다. 세 번째 단계는 현지화로, 현지 국적 멤버들로 구성된 그룹을 만들어 활동하는 것이다. K팝을 수출하던 단계를 넘어 현지화까지 3단계로 성장했다”고 설명했으며,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발전하려면 해외 진출이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캐스팅, 트레이닝, 프로듀싱, 마케팅이 포함된 매니지먼트가 한번에 가능한 ‘360도 비즈니스’ 시스템을 만들었다. 이처럼 산업화하고 시스템화한 것이 K팝 세계화의 초석이 되었고, 덕분에 장기적인 플랜을 세우고 투자를 할 수 있게 되었다”고 전했다.
K팝 세계화의 기폭제로 SNS 플랫폼을 꼽은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는 “SM은 2009년 한국 엔터테인먼트 회사 최초로 유튜브 채널을 오픈했다. 예전에는 물리적 거리의 한계로 소통이 어려웠으나, 지금은 SNS의 발달로 전 세계에서 누구나 K팝을 접할 수 있다. 덕분에 기하급수적으로 팬덤이 확장되었다”고 말했으며, 현재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닥친 코로나19 위기 상황에 대해 “어려운 일을 마주했을 때 좌절하지 않는다면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Beyond LIVE’는 세계 최초의 온라인 전용 콘서트 플랫폼인데 하루아침에 만든 것이 아닌, 디지털 시대에 한류의 세계화를 위해 오래 고민해온 결과물이었고, 팬데믹 상황에 제일 먼저 전세계에 선보일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어서 K팝의 미래 비전에 대한 질문에는 “인공지능(AI), 바이오, 나노 테크 등이 미래 핵심 산업으로 뉴노멀 시대를 열고 있다. 저는 문화기술인 ‘CT (Culture Technology)’를 통해 K팝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싶다. 가상현실과 현실 세계에서 활동하는 에스파를 발표하면서 얘기했듯이 미래는 AI와 셀러브리티의 세상이 될 것”이라며 “아바타가 우리의 친구, 비서를 대신하는 시대가 올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한 사람이 10명의 아바타를 갖는다면, 우리는 5억의 인구를 가질 수 있다. 우리가 5억의 인구를 갖게 되면 산업적으로 할 수 있는 일들이 무궁무진하게 늘어날 것이고,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미래 시장의 확장을 주목하기도 했다.
게다가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는 “앞으로 프로듀싱의 시대이고, 우리는 프로듀서의 나라이기를 바란다”고 말하며, “코로나 시기를 맞이하면서 가상의 세계가 더 중요해진 만큼, 가상 세계까지 아우르는 프로듀싱까지 갖추게 되면 한국이 전세계의 문화를 이끌어가는 리더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이에 패널인 유현준 교수, 김동환 대표, 김지윤 박사, 장예원은 랜선 인터뷰를 마치며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가 한국의 일론 머스크, 혁신가처럼 느껴진다”, "일가를 이룬 리더는 역시 다르다”,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의 생각이 곧 미래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감탄했다. /misskim321@osen.co.kr
[사진] 월간커넥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