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는 클라스-질문 있습니다'에서 오항녕 교수가 조선 왕들의 경연에 관해 이야기했다.
30일 방송된 JTBC 예능 프로그램 ‘차이나는 클라스-질문 있습니다(약칭 차이나는 클라스)’에서는 조선시대 연구 권위자 오항녕 교수가 출연해 조선 왕들의 ‘경연’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경연’은 오늘날의 자문회의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조선의 정치 시스템 중 하나로, 왕과 신하들이 한자리에 모여 유교 경전과 역사 공부를 하는 자리임과 동시에 정책에 대해 토론하는 장이기도 했다. 오항녕 교수는 “왕은 조선 궁궐 내 유일한 세습 권력으로, 검증되지 않은 인물이 왕의 자리에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료들이 경연을 통해 왕을 끊임없이 교육하고 검증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당시 왕은 최고 권력자이자 언제든 폭력을 행사할 수 있는 존재로 자칫 전제주의적인 모습을 보일 위험성이 컸는데, 경연이 이를 제어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했다”라고 말했다.
오항녕 교수는 “조선왕조실록에 경연이 언급되는 횟수만 무려 3만 6천여 건”이라고 했다. 그 방대한 숫자를 들은 학생들 모두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는데, 그만큼 조선시대 국정 운영에 있어서 경연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이 오항녕 교수의 설명이다. 세종은 집현전을 경연을 담당하는 관청으로 확장해 경연의 토대를 다져 활발하게 신하들과 소통하며 배움을 소홀하지 않았다고 한다. 실록을 통해 이런 세종의 모습을 본 학생들 모두 “고개가 절로 숙여진다”라며 “세종이 소통을 꾸준히 했기 때문에 후대의 우리가 위대한 왕으로 인정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한 오항녕 교수는 “경연의 횟수로만 따질 순 없지만, 대체로 경연을 많이 한 왕들이 좋은 정치를 폈다”라며 “경연에 9000회 이상 참여한 조선의 9대 왕 성종 역시 소통으로 국정과 민생의 안정을 이뤘기에 후세의 우리가 그를 ‘성(成)’종이라 부른다”라고 말했다.
경연이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던 때가 있었다. 조선의 대표적인 폭군으로 알려진 연산군과 혼군으로 불리는 광해군 대인데, 연산군과 광해군 둘 다 갖가지의 핑계로 경연을 빠진 것으로 유명했다. 조선 최초로 경연에 내시를 대리출석 시킨 연산군과 재위 15년 동안 경연을 단 10일 열었다는 광해군의 모습에 학생들은 ‘너무한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이런 불통의 모습을 보여준 왕들이 결국 폐위되고 조선의 혼란을 야기했던 모습을 보며, 학생들은 “경연이 엄청 중요한 역할이었네요”라며 경연의 중요성을 되새겼다.
‘차이나는 클라스’는 2월 6일 고대 역사 전문가 안정준 교수와 함께 ‘삼국시대에도 ’착한‘ 외교는 없다’라는 주제로 다음 수업을 이어 간다. ‘차이나는 클라스’는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40분에 방송된다.
/ monamie@osen.co.kr
[사진] JTBC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