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억도 우스운 수백, 1000억 원 대 드라마들이 쏟아진다. 그 돈은 다 어디서 나올까. 결국 글로벌 OTT들의 높아진 구독료, 시청자들의 주머니에서 나올 전망이다.
가수 겸 배우 아이유와 연기자 박보검이 출연하는 새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극본 임상춘, 연출 김원석)가 600억 원에 육박하는 제작비를 기록할 전망이다. 두 주연배우의 높은 몸값과 더불어 수준 높은 시대극의 고증이 기대를 모으는 대목이다.
'폭싹 속았수다' 뿐만이 아니다. 최근 한국 드라마는 이례적인 제작비 상승을 기록 중이다. '아스달 연대기' 540억 원, '종이의 집: 공동경제 구역'과 '별들에게 물어봐'는 400억 원 대의 총 제작비를 기록할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폭싹 속았수다'가 600억 원으로 정점을 찍었을 뿐이다.
심지어 높아진 제작비는 비단 한국 드라마에만 국한되는 게 아니다. 최근 토종 OTT 대표 회사인 웨이브 측은 새 드라마 '종군 기자' 론칭 소식을 알리며 1400억 원의 제작비를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종군기자'는 한국전쟁 여성 종군기자였던 마가렛 매기 히긴스의 이야기를 다룬 10부작 드라마다. 미국 파라마운트사의 '옐로우 스톤'을 쓴 에릭 백이 대본을 쓴다.
한국을 배경으로 했을 뿐 글로벌 블록버스터 작품인 만큼 1000억 원을 훌쩍 넘긴 총제작비가 이해 못할 바는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작품도 수백억원대, 해외까지 겨냥한 1천억원 대 드라마가 한국에서 탄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콘텐츠 시장의 자금 상황이 어떤지 돌아보게 만들고 있다.
넷플릭스, 디즈니+로 대표되는 글로벌 공룡 OTT들이 K콘텐츠에 눈독을 들이고 국내 시장에 상륙한 지 오래인 바. 세계 경제와 인플레이션 등이 맞물리며 드라마, 예능, 영화를 막론하고 국내 콘텐츠 시장의 인건비부터 모든 게 상승했다. 물가와 인건비 만큼 제작비도 오르는 게 단순하게 보면 타당하게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관건은 콘텐츠의 성패에 따라 높아진 제작비가 수백억원의 매몰 비용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소수의 승자독식이 공식처럼 굳어진 현재의 대중 문화 산업 분야에서 높아진 매몰 비용을 감당할 곳은 결국 상대적으로 규모가 크고, 현금 흐름도 원활한 글로벌 공룡들 뿐이다. 이미 업계는 모든 시나리오의 0순위는 넷플릭스가 됐고, 출연자들의 선호도 부동의 정상도 넷플릭스다.
그렇다면 넷플릭스는 이 모든 한국의 블록버스터들을 끌어안을 수 있을까. 이미 넷플릭스는 '오리지널 시리즈' 위주의 선택과 집중으로 취사 선택을 해오고 있다. 무엇보다 요금 인상 또한 진행하고 있다. 공격적인 투자를 위한 광고 도입, 계정공유 제한 정책도 마찬가지다.
결국 높아진 제작비의 부담이 소비자인 시청자들에게 돌아오는 형국이다. 물론, 들인 돈 만큼 양질의 작품을 볼 수 있다면 문화도 산업인 마당에 자연스러운 이 과정을 마다할 사람은 없겠다.
하지만 "그 많은 돈은 다 어디로 썼냐"라는 반응도 반드시 뒷따라 올 터. 요금이 높아질 수록 소비자의 눈은 더욱 까다로워지고 실패는 더욱 용납되지 않는다. 업계의 잔치에 마냥 들뜰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잘 돼도 본전, 망하면 죽는 시장이 되지 않기 위해 제작 일선에 더욱 예리한 감각이 필요해지고 있다. / monamie@osen.co.kr
[사진] OSEN DB, 넷플릭스, 웨이브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