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는 정말 다르다. 조기에 월드컵 확정에도 일본 대표팀의 기대치가 날이 갈수록 높은 것 같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축구대표팀은 25일 오후 8시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지역 3차 예선 B조 8차전에서 요르단과 1-1로 비겼다.
이날 한국은 전반 5분 터진 이재성의 선제골로 기분 좋게 출발했다. 하지만 전반 30분 마흐무드 알마르디에게 역습 한 방으로 동점골을 허용하고 말았다. 박용우의 실수 한 번이 실점으로 직결됐다.
이로써 한국은 지난해 11월 팔레스타인전부터 지난 20일 오만전, 이날 요르단전까지 3경기 모두 무승부를 기록했다. 특히 안방에서 치른 두 경기 모두 승리하지 못하며 진한 아쉬움을 남겼다.
이제 한국은 승점 16(4승 4무)으로 불안한 조 1위를 유지 중이다. 6월 A매치 결과에 따라 2위 요르단(승점 13)이나 3위 이라크(승점 12)에 뒤집힐 가능성도 있다.

사실 대표팀은 이번 안방 2연전에서 승리하며 11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을 조기에 확정하겠다는 각오였다. 하지만 두 경기에서 승점 2점을 추가하는 데 그치면서 다음으로 미루게 됐다.
그나마 팔레스타인이 이라크의 발목을 잡아준 게 다행이다. FIFA 랭킹 56위 이라크는 26일 팔레스타인(FIFA 랭킹 101위)에 1-2로 졌다. 전반 34분 에이멘 후세인의 선제골로 앞서 나갔지만, 후반 43분과 추가시간 7분 연속 실점하며 충격적인 역전패를 기록했다.
만약 이라크가 이날 승리해 승점 15점을 만들었다면, 한국과 조 1위 자리를 두고 치열하게 맞붙을 수 있었다. 만약 한국이 6월 이라크 원정에서 패하면 3위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존재했다. 하지만 팔레스타인에 패한 이라크. 이제 한국은 이라크와 비기기만 해도 11회 연속 월드컵 본선행을 확정하게 된다.
하지만 마냥 기뻐할 순 없다. 월드컵 진출 그 이상에 도전하는 한국 축구로서는 전혀 웃을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아시아 톱시드 국가 중 본선행을 확정하지 못한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 옆나라 일본과 중동의 강호 이란은 이미 본선 진출을 확정 짓고 다음 계획을 그리고 있다. 특히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월드컵 티켓을 손에 넣었다.

반면 모리야스 하지메 감독이 이끄는 일본은 25일 일본 사이타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C조 8차전 홈 경기에서 사우디와 0-0으로 비겼다.
1.5군을 내보낸 일본은 최정예가 나선 사우디아라비아와 대등한 경기력을 선보였다.
6승 2무로 승점 20을 기록한 일본은 C조 1위를 확정했다. 일본이 오는 6월 열리는 예선 9, 10차전에서 모두 패하고, 2위 호주(승점 13)가 전승을 거둬도 선두를 유지한다. 일본은 앞서 지난 20일 바레인과의 예선 7차전에서 2-0 승리를 거두며 북중미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따낸 1호 나라가 됐다.
FIFA 랭킹 15위로 아시아축구연맹(AFC) 소속 국가 중에서 가장 랭킹이 높은 일본은 3차 예선 8경기에서 24골을 몰아치고 실점은 2골만 허용하는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였다. 3차 예선에서 각 조 1, 2위를 차지한 팀이 북중미 월드컵 본선 직행 티켓을 받는다. 일본이 독주 체제를 갖춘 가운데 호주, 사우디, 인도네시아 등이 2위를 두고 경쟁 중이다.

그러나 이런 결과에도 일본 내에서는 사우디전에 대한 불만이 많다. 일본 '스포르티바'는 "지난 10월 호주전과 마찬가지로 아쉬운 경기력이었다"라면서 "상대가 작정하고 수비에 나서면 뚫을 방법이 없는 것 같다"라고 한숨만을 내쉬었다.
스포르티바는 "높은 볼 점유율은 일본이 상대를 압도해서가 아니라 그냥 상대가 내려 앉고 철저하게 카운터 위주로 경기를 준비했기 때문이다"라면서 "상대가 작정하고 무승부를 노리니 전혀 방법이 없었다. 일본은 좋은 팀이지만 못 막을 팀은 아니라는 상대 감독의 예상이 그대로 맞아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mcadoo@osen.co.kr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